top of page

다살이생물자원연구소
DASARI Research Institute of BioResources, Inc.

다살이 곤충(Insecta) 이야기
국내 서식하고 있는 곤충들의 이야기 공간 입니다. 연구원들의 많은 참여로 이루어진 공간인 만큼 재미있게 들어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닮은열대불나방(가칭) (Asota plaginota)
오늘은 지난번 소개했던 열대불나방(가칭)에 이어, 열대닮은불나방(가칭) Asota plaginota 에 대해 이야기해 보려고 합니다. 이 종 역시 작년에 열대불나방 관련 논문에 함께 포함되어 국내 미기록종 으로 발표되었다. 이 나방은 2007년...


겨울 팽나무 나비(Butterfly) 삼총사(Trio)
추운 겨울 곤충들이 다양한 형태로 겨울잠을 잡니다. 그많은 곤충들이 어디에 꼭 꼭 숨어서 보이지 않는지 신기합니다. 나비들은 알, 애벌레로 월동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활동하는 계절에는 눈 앞으로 날아다니니 제일 찾기가 쉬운 곤충이지만 반대로...

열대불나방(가칭) (Asota caricae)
오늘은 열대불나방(가칭) Asota caricae에 대해 작성해볼까한다. 이 종은 작년인 2024년에 논문화되어 현재 인쇄 중(In press) 상태에 있다. 이 종은 태극나방과(Erebidae)의 Aganainae 아과에 속하는 종으로, 주로...

부엉이산누에나방(Eriogyna pyretorum)
오랜만에 곤충이야기를 업데이트해볼까 한다. 오늘은 국내에서는 거의 멸종위기종이라고 해도 될 정도로 매우 귀하고 보기 어려운 부엉이산누에나방에 대해서 써볼까 한다. 2016.10. 강원도 대학원 때부터 지금까지 곤충을 연구하고 매년 조사를 나가고...


뿔나비나방(Pterodecta felderi)
오늘은 뿔나비나방에 대해서 써볼까 한다. 뿔나비나방(2023, 인제군) 뿔나비 (2020, 부안군) 뿔나비나방을 이름 그대로 뿔나비와 매우 유사하게 생긴 '나방'이다. 국내에서는 1과(Callidulidae)의 1속(Pterodecta)...


바둑돌부전나비(Taraka hamada)
오늘은 바둑돌부전나비에 대해 써볼까 한다. 바둑돌부전나비 (2023, 나주) 바둑돌부전나비 (2023, 나주) 많은 분들이 아는 나비일 것같은데, 이름 그대로 날개뒷면에 바둑돌처럼 박혀있는 검은색무늬가 아주 매력적인 나비로 국명은 1945년...


여왕밤나방(Sinocharis korbae)
오늘은 여왕밤나방에 대해 써볼까한다. 여왕밤나방(2023, 괴산) 여왕밤나방은 국명 그래대로 앞날개와 뒷날개가 하얀색 바탕에 검은 무늬가 어우려져 매우 화려하게 생긴 나방이다. 전세계에 1속 1종인 단형속(Monotypic genus)으로 한국,...


우리나라 물자라류 3종(각시물자라, 물자라, 큰물자라)의 이야기
첫번째부터 1. 각시물자라(Diplonychus esakii), 2.물자라(Appasus japonicus), 3. 큰물자라(Appasus major) 입니다. 국내에는 현재 3종이 분포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위의 사진에서 처럼...


매미기생나방(Epipomponia nawai)
오늘은 매미에 기생하는 나방. 매미기생나방에 대해서 써볼까한다. 매미기생나방 (2021, 상주) 아마 흔하게 아시는 분들도 있겠지만, 모르시는 분들도 많은 나방일거라 생각이 든다. 매미기생나방을 말 그대로 유충시기에 매미에 붙어서 생활하면서...


유리산누에나방(Rhodinia fugax)
오늘은 작은산누에나방에 이어 유리산누에나방에 대해 써볼까한다. 유리산누에나방 (2023, 인제군) 사진은 올해 점봉산에 잡은 개체를 표본을 만들고 찍은 사진인데... 잡을 때부터 뒷날개가 찢겨있어서 다소 아쉬운 부분이 있다...ㅠㅠ 아마...


작은산누에나방(Saturnia boisduvalii)
오늘은 작은산누에나방에 대해 써볼까한다. 작은산누에나방 (2023, 인제) 사실 산누에나방쪽은 흔하게 나오는 종들이 많고 스크린에 날라오면 작은나방들을 쳐내서 크게 관심을 가져본적이 없었다...ㅎㅎㅎ 그러다 작년 인제 점봉산에 조사하면서 우연치...


남방홍점불나방(Utetheisa lotrix)
오늘은 남방홍점불나방에 대해서 써볼까한다. 남방홍점불나방 (2021, 통영) 이 종은 아마 다들 많이 생소할 것같다. 아직까지는 국내에서도 남부 도서지역에서만 발견되고 있는것 같고 개체수가 매우 적어 관찰이 어려운 종을 보인다. 국내에서는 박규택...


남방오색나비(Hypolimnas bolina)
오늘은 저번에 이어 미접인 남방오색나비에 대해 써볼까한다. 남방오색나비 (인제군 인제곤충바이오센터, 2021) 남방오색나비는 검은색 날개에 청색과 흰색이 섞인 무늬가 아름답게 섞여있어 보는사람 눈을 즐겁게 한다. 수컷은 사진에 있는 것처럼 검은색...


남색물결부전나비 (Jamides bochus)
오늘은 물결부전나비에 이어 남색물결부전나비를 써볼까한다. 남색물결부전나비 (2023, 제주도) 국내에서는 아직 미접으로 알려져있고, 2007년에 김용식에 의해서 제주도 애월에서 처음 채집된 개체가 기록됐다. 요즘 기후변화와 다양한 원인으로...


물결부전나비(Lampides boeticus)
오늘은 뾰족부전나비에 이어 물결부전나비에 대해 써볼까한다. 뾰족부전나비와 마찬가지로 물결부전나비는 많은 분들이 아는 나비일거라고 생각된다. 그리고 국명을 정말 잘지었다고 생각이 될 정도로 뒷면이 화려한 물결무늬가 인상적인 나비이기도 하다....


뾰족부전나비(Curetis acuta)
오늘은 저번에 이어 미접인 뾰족부전나비에 대해 써볼까한다. 요즘에는 정말 많이 알려져있고, 흔하게 나오는 나비이지만 아직까지 국내에서는 미접으로 알려져있다. 뾰족부전나비를 처음 본건 2019년 영광에서 선배 조사 따라갔다가 처음보게 되었는데,...


연노랑흰나비(Catopsilia pomona)
오늘은 연노랑흰나비(Catopsilia pomona)에 대해 써볼까한다. 올해 무안군에서 채집한 연노랑흰나비(2023, 무안) 일단 사진이 조금 어두워서 보는데 조금 불편할 수도 있다. 밑에 검은색이나 다른 색깔을 두고 찍었으면 더 잘나왔을텐데,...


푸른띠뒷날개나방(Catocala fraxini)
오늘은 푸른띠뒷날개나방(Catocala fraxini)에 대해 써볼까한다. 푸른띠뒷날개나방 (인제, 2023) 사진은 표본이 너무 커서 연구소 촬영장비로 촬영이 안돼 개인 카메라로 찍었다. 그래도 나름 볼만 해서 다행이다....


털보꼬리박각시(Sphecodina caudata)
저번에 이어 오늘은 털보꼬리박각시(Sphecodina caudata)에 대해 써볼까한다. 털보꼬리박각시 (2023, 충주) 앞서 말했듯이 박각시 종류는 우리 주위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나방이다. 박각시는 대부분 밤에 많이 활동하지만, 일부...


애기박각시 (Deilephila askoldensis)
오늘은 애기박각시(Deilephila askoldensis)에 대해서 적어볼까한다. 애기박각시 (2022, 상주) 박각시 종류는 크기가 크고 개체수가 많아서 어디든 흔하게 볼 수 있는 나방이다. 그리고 다른 나방들에 비해서 비교적 무늬가 뚜렷해서...


황색검은점띠밤나방(Ophiusa tirhaca)
오늘은 황색검은점띠밤나방(Ophiusa tirhaca)에 대해 써볼까한다. 황색검은점띠밤나방(부산, 2023) 이 종을 처음 본건 선배 박사님을 따라 보조원으로 파주에 갔을 때 였다. 학교에서 다양한 채집을 나갔었지만, 11월에 조사를 나간 적은...


넉점박이송장벌레(Nicrophorus quadripunctatus)
넉점박이송장벌레(Nicrophorus quadripunctatus)는 딱정벌레목(Coleoptera) 송장벌레과(Silphidae)에 속하는 곤충이다. 송장벌레 무리들은 독특한 생태적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 대부분의 종들이 죽은 동물의 시체를...

길쭉꼬마사슴벌레(Figulus punctatus punctatus)
길쭉꼬마사슴벌레는 큰꼬마사슴벌레와 함께 국내에 유이한 Figulus속의 사슴벌레이다. 일본, 대만에도 서식하며 우리나라는 제주도와 남해 인근 섬들에 서식하는데 주로 썩은 팽나무에서 관찰된다. 큰꼬마사슴벌레보다는 크기가 작고, 눈가두리돌기의...


큰꼬마사슴벌레(Figulus binodulus)
큰꼬마사슴벌레는 한국에 단 두 종만 서식하는 Figulus속 사슴벌레 중 하나이다. 일본, 중국, 대만, 베트남 등 인접 국가에도 서식하며 국내에선 현재 전남 신안 가거도와 홍도 두 섬에서만 서식이 확인된다. 큰꼬마사슴벌레는 일반적인 사슴벌레들과...


산수콩알물방개(Platambus usuriensis)
산수콩알물방개는 산에 있는 물에서 발견되기 때문에 山水콩알물방개라고 이름지어졌다. 딱정벌레목(Coleoptera) 물방개과(Dytiscidae) 콩알물방개속(Platambus)에 속하는 수서 곤충으로 동구북구에 속하는 한국, 중국, 러시아의...


검정물방개(Cybister brevis Aubé, 1838)
검정물방개는 물방개과(Family Dytiscidae) 중에 중대형 종에 속하며, 국명과 비슷하게 성충은 완전히 검은색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검정물방개는 국내 뿐만 아니라 중국 및 한국에서도 분포하고 있으며, 성충은 1년 내내 볼 수 있다....


물방개(Cybister chinensis)
물방개는 딱정벌레목(Coleoptera) 물방개과(Dytiscidae) 물방개속(Cybister)에 속하는 수서 곤충으로 동구북구에 속하는 한국, 중국, 일본, 대만, 러시아의 극동지역에 출현한다. 본 종은 주로 수생식물이 많은 연못, 저수지...


뾰족날개선녀벌레(Salurnis marginella)
오늘 소개할 곤충은 뾰족날개선녀벌레(Salurnis marginella)이다. 뾰족날개선녀벌레(Salurnis marginella)는 선녀벌레과(Flatidae)의 뾰족날개선녀벌레속(Salurnis)에 속하는 곤충으로, 우리나라에는 이...


비단벌레(Chrysochroa coreana)
비단벌레(Chrysochroa coreana)는 딱정벌레목(Coleoptera) 비단벌레과(Buprestidae)에 속하는 곤충으로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가장 아름답고 화려한 곤충 중 하나이다. 비단벌레는 그 화려함으로 인해 신라시대부터 마구의...


애기뿔소똥구리(Copris tripartitus)
애기뿔소똥구리는 딱정벌레목 소똥구리과(Scarabaeidae)에 속하는 곤충이다. 성충은 4-10월 활동이 관찰되는데 때때로 등화에 날아오는 모습을 볼 수 있으며 다른 소똥구리들과 마찬가지로 생태계의 중요한 분해자 역할을 수행한다. 기본적으로...


강하루살이(Rhoenanthus coreanus (Yoon and Bae, 1985))
국내에서 나타나는 하루살이 중에 강하루살이(R. coreanus)는 학명에서부터 coreanus라고 해서 국내 고유종임을 직감할 수 있다. 하루살이 중에 대형종에 속하는데 너무나 늦게 국내에서 신종으로 밝혀져 놀랍기도 하였지만, 그만큼 국내...


애넓적물땡땡이(Enochrus simulans)
애넓적물땡땡이는 딱정벌레목(Coleoptera) 물땡땡이과(Hydrophilidae) 넓적물땡땡이속(Enochrus)에 속하는 수서 곤충으로 동구북구에 속하는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의 극동지역에 출현한다. 본 종은 주로 논, 연못, 저수지...


된장잠자리(Pantala flavescens)
된장잠자리(Pantala flavesvens)는 잠자리목(Odonata) 잠자리과(Libellulidae)에 속하는 곤충으로 현재까지 알려진 모든 잠자리 중 가장 넓은 분포를 보이며 아시아, 유럽, 아프리카, 아메리카 대륙 등 남극을 제외한 모든...


여러갈래하루살이(Thraulus grandis)
국내에 알려져 있는 "여러갈래하루살이(T. grandis)"는 하루살이 종류중에 갈래하루살이과(Family Leptophlebiidae)에 속하는 한종으로 국내에서는 매우 희귀하게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천의 상류에 매우 깨끗한 서식처를...

은판나비(Mimathyma schrenckii)
오늘 소개할 곤충은 은판나비(Mimathyma schrenckii)이다. 은판나비는 네발나비과(Nymphalidae)의 오색나비아과(Apaturinae)에 속하는 나비로, 뒷날개의 은색무늬가 크게 박혀있는 아름다운 나비 중 하나이다. 은판나비는...

왕나비(Parantica sita)
오늘 소개할 곤충은 왕나비(Parantica sita)이다. 왕나비 (Parantica sita)는 네발나비과(Nymphalidae)의 왕나비아과(Danainae)에 속하는 나비로, 우리나라 제주도 표본을 이용하여 Ichikawa (1906)이...


영양사슴하늘소(Autocrates maqueti)
영양사슴하늘소는 딱정벌레목 사슴하늘소붙이과(Trictenotomidae)에 속하는 대형 곤충이며 우리나라에서는 비교적 최근인 2001년 영양에서 처음 채집되어 2008년에 보고되었다. 큰 덩치와 긴 더듬이 때문에 하늘소로 오해를 받기도 하는데,...


무늬박이제비나비(Papilio helenus)
오늘 소개할 곤충은 무늬박이제비나비(Papilio helenus)이다. 무늬박이제비나비는 호랑나비과(Papilionidae)의 호랑나비아과(Papilioninae)에 속하는 나비로, 무늬박이라는 이름은 뒷날개의 흰무늬가 박혀있는 것에서...


호랑꽃무지(Lasiotrichius succinctus)
"호랑꽃무지"는 딱정벌레목 소똥구리과(Scarabaeidae)에 속하는 곤충으로 몸 전체가 노란색 털로 덮여 있는 모습이 마치 호랑이 털과 비슷하다고 하여 호랑꽃무지라는 이름이 붙여졌으며, 과거 같은 이유로 범꽃무지라고 불리기도 하였다. 봄부터...


뿔나비(Libythea lepita)
오늘 소개할 곤충은 뿔나비(Libythea lepita)이다. 뿔나비는 네발나비과 (Nymphalidae)의 뿔나비아과(Libytheinae)에 속하는 나비로 우리나라에서 뿔나비 한 종이 알려져있다. 뿔나비라는 이름은 아랫입술수염(labial...


우리꼬마물방개(Hydroglyphus coreanus)
'우리꼬마물방개'는 딱정벌레목(Coleoptera) 물방개과(Dytiscidae) 꼬마물방개속(Hydroglyphus)에 속하는 수서 곤충으로 우리나라에서 2016년 Lee와 Ahn에 의해 신종으로 기록되었다. 우리나라에서 처음 발견되어...


먹그림나비(Dichorragia nesimachus)
오늘 소개할 곤충은 먹그림나비이다(Dichorragia nesimachus)이다. 먹그림나비는 우리나라에서 이전까지 네발나비아과(Nymphalinae)로 분류되어왔지만, 백과 신 (2014)에 의해서 처음으로...


각시물자라(Diplonychus esakii)
각시물자라는 노린재목(Hemiptera), 물장군과(Family Belostomatidae)에 속하는 수서곤충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 물자라 종류는 3종류로 알려져 있는데 크기 순으로는 "큰물자라, 물자라, 각시물자라" 순이다. 보통...


홍점알락나비(Hestina assimilis)
오늘의 곤충은 홍점알락나비(Hestina assimilis)이다. 홍점알락나비는 네발나비(Nymphalidae)의 오색나비아과(Apaturinae)에 속하는 나비 중 하나이며, 아래의 사진에서 보는 것처럼 뒷날개의 외연을 따라 화려한 홍점무늬가...


한국꼬마잠자리(Nannophya koreana)
"한국꼬마잠자리"는 과거에 "꼬마잠자리(Nannophya pygmaea)"로 알려져 있었으며, 국내에서는 2020년도에 새롭게 정정되어 발표되었다. 형태학적 및 분자학적 차이점으로 이전에 알려진 종과는 다른 신종으로 발켜졌으며, 현재 국내...


꼬마넓적사슴벌레(Aegus subnitidus)
꼬마넓적사슴벌레(Aegus subnitidus)는 딱정벌레목 사슴벌레과(Lucanidae)에 속하며 국내에 서식하는 유일한 Aegus속의 사슴벌레다. 크기가 큰 개체도 3cm가 채 안되는 아주 작은 사슴벌레이며, 소형 수컷은 큰턱의 내치가...


닻무늬길앞잡이(Cicindela anchoralis)
이번에 소개할 곤충은 딱정벌레목 딱정벌레과(Carabidae)에 속하는 닻무늬길앞잡이(Cicindela anchoralis)다. 현재 멸종위기 야생생물 II급에 해당하는 닻무늬길앞잡이는 딱지날개에 이름의 유래인 닻 모양의 무늬가 있으며, 풍성한...


남방노랑나비(Eurema hecabe)
오늘 소개할 곤충은 흰나비과(Pieridae)의 노랑나비아과(Coliadinae)에 속하는 남방노랑나비(Eurema hecabe)이다. 남방노랑나비는 이름과 같이 대부분 남부지역에서 주로 발견되며, 개체수가 많아 우리 주위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테물방개(Allodesus megacephalus)
'테물방개'는 딱정벌레목 물방개과에 속하는 수서 곤충으로 동구북구에 널리 분포하며 우리나라에는 1982년 Kim에 의해 처음 기록되었다. 본 종은 바닷가가 아닌 곳에서는 거의 발견되지 않는 해양성 수서딱정벌레이다. 현재까지 해안가에서는 매우...


청딱지개미반날개(Paederus fuscipes)
"청딱지개미반날개"는 딱정벌레목 반날개과에 속하는 곤충으로 최근 몇년 사이에 화상벌레로 많이 기사화된 곤충이다. 학명은 Paederus fuscipes로 paederin이라고 하는 화학물질을 체내에 지니고 있는데, 이 물질은 피부에 닿았을 때...
bottom of page